반응형
하나투어는 업계 1위라는 점에서 마음에 들었다.
해외여행 인구가 늘어나고 있고,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를 생각해 볼 때
자유여행 보단 여행사를 통한 해외여행이 늘어날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객관적 증거 전혀 없음)
최근 알리바바투어와 업무협약 맺음 (16.01.26)
면세점 관련해서 부진했는데, 호재로 작용해서
84,300원까지 떨어졌던 주가가 98,700원까지 상승
유럽노선 최대 성수기는 4월,
4월 이후 매도?가 좋은가??
현재는 저평가 되어있다고 생각되는데,
확실히 매도점을 잡는 것이 어렵다.
알리바바와 업무협약 뉴스 뜬게 1월 16일 오후 3시
관련 뉴스가 뜨기 전에 이미 상승 중이었고,
다음 날 차트 사이에 갭이 생길 정도로 상승력이 좋았다.
2015년 3월(95,000원) 부터 급격히 상승해서 같은 해 7월 (200,000원)까지 상승
7월 상승 요인은 면세점 (SM면세점) 사업자 확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상장 이후 가장 최저점이 61,300원 이다.
2월 1일 추가
지카 바이러스로 인한 여행주 위축... 100,000원 대에서 9만원 초반대까지 떨어짐....
2월 19일 추가사항
지카 바이러스와 장기간 외국인 매도에 맞물려 8만원 초반까지 떨어졌던 주가가
반등기간(2~3일)에 9만원 후반때까지 치솟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회사 실적과 무관한 주가 하락은 결국 다시 되돌아 온다는 느낌을 준다.
앞으로는 이러지 않은 상황들에 대해서 자세히 적는게 필요하다. 반드시 실패한 경험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반응형
'경제분야 > 주가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02.13 SK가스 사상 최대 실적, E1 영업익 65% 하락 (0) | 2017.02.13 |
---|---|
'17.02.13 게임관련株 투자 아이디어 (0) | 2017.02.13 |
[한국전력] (0) | 2016.03.05 |
[쌍용자동차] 불굴의 국내 자동차 회사 (0) | 2016.02.21 |
[아프리카TV] 인터넷 개인방송의 선두주자 (0) | 2016.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