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분야/주식 및 재테크 TIP 5

펀드 가입시 적립식, 거치식, 임의식 어떤 것을 골라야할까?

펀드 가입시 적립식, 거치식, 임의식 어떤 것을 골라야할까? 펀드 가입시 정해야 하는 것 중에 납입형태가 있다. 펀드 납입하는 계약의 형태를 정하는 것인데, 펀드는 만기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펀드는 이미 운용중인 상태이고 내 자금이 이 펀드에 들어가거나 나올 뿐이다. 이제 여기에 돈을 어떻게 넣느냐의 차이가 납입형태의 차이가 된다. 우선 직관적으로 이름과 그 납입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적립식 = 주기적으로 일정의 금액을 펀드에 적립하는 형태 거치식 = 목돈(?)을 한 번에 거치하는 형태 임의식 = 임의로 넣는 형태 (자동이체시 적립식과 유사, 거치형태로 할 때 거치식과 유사) 쉽게 말하면 적립식은 적금, 거치식은 예금, 임의식은 자유입출금 통장과 비슷하다고 느껴지는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임의식이 가장 ..

2017년 새해 KB 스마트폰 적금 같이 해요~!!

벌써 새해입니다. 2017년 1월 2일이네요.방문자 분들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새해에도 적금을 시작하였습니다. 스마트폰 적금인데KB 스마트폰 적금입니다. (이걸로 다들 자주 애용하시더라구요.) 혹시나 적금을 새로 시작하시는 분이라면,저의 추천번호 '503 6003 065' ← 를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그럼 입력하신 분과 저 둘 다 우대 금리 0.1%씩 받을 수 있습니다. 귀여운 농장에서 같이 1년 동안 적금 농장을 키워보면 좋겠네요. 댓글에 릴레이로 바로 위에 분을 추천하시고 본인의 추천번호를 남겨주시면 릴레이도 할 수 있겠네요!모든 분 적금 화이팅입니다!!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추천 도서

경제 공부를 위한 독서에는 우선 '개설서' 1권을 정해서 완독을 권하는데 홍춘욱 이코노미스트가 추천하는 책으로는 오영수 교수님의 '매직경제학(절판됨)', 최근 출간된 '30일 역전의 경제학'이 있다. 또는 해외 서적으로 '경제학 콘서트'시리즈도 좋다고 한다. 이렇게 사례가 풍부한 책 위주로 두 개 이상의 개설서를 읽다보면 그 책들에 겹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책이 있는데, 그 책을 읽어보되 글을 잘 쓰시는 분들의 책 위주로 읽기를 권장. 또 그런 책들 인용자료에서 공통적으로 참조하는 책들도 읽어보길 권장하고 있다. 주식투자에 관해서는 피터린치의'투자 이야기'읽어보길 권하고 있고, 본인의 책 중에서는 '유쾌한 이코노미스트의 스마트한 경제학'과 '환율의 미래'를 권하고 있다. 2016.12.17 이진우 기자..

[풋 옵션 대박] 이런 경우도 있다.

가끔 들리는 게시판에서 발견한 글이다. 긴 설 연휴가 끝나고 장이 개시하는 목요일이었는데, 전날 나스닥을 비롯한 전세계 장이 폭락해서 코스피 폭락 또한 어느정도 예상되었던 상황.... 글쓴 사람은 대략적인 상황과 번 돈만 인증하고 사라졌다.... ㄷㄷㄷ... 1년에 1~2번 ㄷㄷㄷㄷ...근데 액수봐.... 저 정도 금액인데 살짝 살짝이라니... 믿기질 않는다. 현실적인 반응... 풋이냐 콜이냐 어찌보면 홀짝게임과도 같다는 생각이 들긴한다. 이렇게 폭락할 장은 상승할 장 보다 예상하기가 더 쉽기 때문에어쩌면 더 적절한 선택이라고 보여지기도 한다. 쉬운 선택은 아니다. 폭락장이 예상될 때 대응법혹은 주갤러들의 대응방식....(거기 주식얘기는 별로 없지만 ㅠ)같은 것들을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투자지표] ROE, EPS, PER, EV/EBITDA, PBR

투자지표란?회사의 상태를 숫자로 나타내어 투자의 지표로 삼을 수 있게 한 것. 1. ROE(자기자본 이익률 Return On Equity) → 내가 투자한 돈으로 회사가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수→ ROE는 높을수록 좋다. 2. PER(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 수치가 낮을수록 좋다.→ 수치가 낮다 =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금에 비해서 주가가 저평가 → (EPS : 주당 순이익) 3. EV/EBITDA(이브이에비타) → 수치가 낮을수록 좋다. → 순수하게 '영업'으로 지금과 같이 돈을 벌 경우 투자한 금액(EV, 시가총액+순차입금) 만큼 버는데 몇년이 걸리는지 나타내는 수치 4. PBR(주가 순자산 비율 Price Book-value Ratio) → 수치가 낮을수록..

반응형